우양 주가 전망 7월 미국 냉동김밥 수출

최근 해외 시장에서 한국 식품, 즉 ‘K-푸드’의 인기가 급상승하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는 한국 기업들의 주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코스닥 상장사인 우양의 주가가 특히 주목받고 있다. 우양은 냉동식품 전문기업으로, 특히 냉동김밥을 미국에 수출할 예정이라는 소식이 주가 급등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우양 주가 전망 7월 미국 냉동김밥 수출과 재무상태 등에 대해서 정리해봤다.

우양 주가 전망 7월 미국 냉동김밥 수출

우양 주가 전망 7월 미국 냉동김밥 수출

우양 주가 급등 이유

우양의 주가는 지난 한 달간 급격히 상승했다. 2024년 5월 7일부터 6월 7일까지 우양의 주가는 무려 111.97% 상승했다. 지난 6월 7일에는 상한가를 기록하며 903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는 같은 기간 삼양식품의 주가 상승률인 99.01%를 상회하는 수치다. 주가 급등의 주요 원인은 7월부터 시작될 냉동김밥의 미국 수출 소식 때문이다. 이러한 소식은 투자자들에게 실적 기대감을 크게 높였다.

투자자들 동향

최근 한 달간 개인투자자들과 기관투자자들은 각각 11억원과 9억원 어치의 우양 주식을 순매수했다. 반면, 외국인은 17억원 어치의 주식을 순매도했다. 이는 국내 투자자들이 우양의 미래 성장 가능성에 대해 강한 믿음을 가지고 있는 반면, 외국인은 다소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한다.

우양 핫도그

우양은 1992년에 설립된 냉동식품 전문기업이다. 주력 제품은 냉동 핫도그로, 국내 냉동 핫도그 시장에서 5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주요 고객으로는 CJ제일제당, 풀무원, 스타벅스, 이디야 등이 있다. 현재 우양은 창업자의 아들인 이구열 대표가 이끌고 있으며, 이구열 대표는 회사 지분의 33.3%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냉동김밥 수출 전망

미국 대형유통매장에서 K-냉동김밥 홍보 판매 부스 운영 중

우양의 주가 급등의 핵심 요인은 냉동김밥이다. 우양은 7월부터 냉동김밥을 미국 대형마트에 수출할 예정이며, 이는 미국에서 냉동김밥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생산업체 중에서는 우양이 유일하게 상장사다. 지난 4월 국내 냉동김밥 수출액은 약 605만 달러(약 83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531.5% 증가했다. 우양은 월평균 120만 개의 냉동김밥을 생산할 수 있으며, 이는 연매출 기준으로 약 200억원에 해당한다. 올해 예상 매출은 약 100억원이다.

핫도그보다 마진 2배 이상

냉동김밥은 핫도그보다 자동화율이 높아 생산 마진이 약 2배 크다. 또한, 냉동김밥의 평균 판매단가(ASP)는 핫도그보다 약 3배 높다. 이에 따라 냉동김밥이 우양의 실적에 기여하는 바는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화투자증권의 한유정 연구원은 이러한 분석을 통해 냉동김밥의 높은 경제적 가치를 강조했다.

재무 상태와 투자

우양은 최근 몇 년간 재무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2022년과 지난해에는 각각 1억원과 13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으나, 당기순손실은 30억원과 39억원에 달했다. 그러나 올해는 증권가의 컨센서스에 따르면 영업이익 100억원, 당기순이익 60억원으로 흑자 전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전망에 따라 우양은 자금 조달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난 4월 26일, 우양은 26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발행했으며, 메자닌 전문 운용사인 씨스퀘어자산운용이 투자에 참여했다.

투자 경고와 대응

우양의 주가가 단기간에 급등하면서 일부 증권사들은 ‘빚투’를 차단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KB증권은 우양의 증거금률을 40%에서 100%로 올리고, 신용대출 종목군을 ‘불가’로 분류했다. 또한, 한국거래소는 6월 7일 종가가 15일 전 종가보다 100% 이상 상승한 것을 이유로 우양을 투자경고종목으로 지정할 것을 예고했다.

마치며

우양은 냉동김밥의 미국 수출을 계기로 주가가 급등하며 투자자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냉동김밥의 높은 수요와 이에 따른 수익성 증대는 우양의 재무 상태를 크게 개선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단기간 내에 주가가 급등한 만큼, 투자자들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우양의 향후 성장이 기대되지만, 투자 경고와 같은 리스크 요인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우양이 글로벌 시장에서 어떠한 성과를 거둘지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